카테고리 없음

집에서 할 수 있는 초등학생 과학 실험

생각제곱 2006. 2. 10. 22:25

 

이건 첫아이 초등학교때 방학 숙제로 하고 보고서를 써 낸 실험인데, 제 홈에 있던 것 옮겼습니다.

 

올 여름 우리 아들에게 그대로 한번 더 해주려구요

 

참고하시라고 올립니다.

 

 

1. 풍선 부풀리기

A . 준비물

식초, 베이킹 소다, 패트병, 풍선

B. 실험 방법

1. 식초 약 100-200밀리를 패트병에 담는다(500밀리-1.5리터 용기)
2. 베이킹 소다 2스푼을 풍선에 따로 담는다.(깔때기 쓰면 쉬움)
3. 풍선을 패트병 입구에 씌운 후 거꾸로 세운다

C. 실험 모습

D. 실험 결과

풍선이 부풀어올랐다.
소다가 식초에 섞이면서 이산화탄소 기체가 발생해서 풍선이 부풀어올랐다.

2. 오래된 동전 색깔 바꾸기

A . 준비물

시커멓게 된 10원짜리 동전, 식초, 소금, 뚜껑있는 병

B. 실험 방법

1. 시커멓게 된 10원짜리 동전을 준비한다.
2. 뚜껑 있는 병에 식초와 소금을 적당히 넣는다.
3. 10원 동전을 병에 넣고 뚜껑을 닫은 후 마구 흔든다.

C. 실험 모습

D. 실험 결과

거의 금색으로 동전색깔이 바뀌었다. 화학 반응의 한 종류라고 한다.

3.뫼비우스의 띠

A . 준비물

8절 시험지, 가위, 풀, 연필

B. 실험 방법

1. 종이를 한번 꼬아 붙인 후 가운데에 연필로 선을 그은 다음 선을 따라 가위 로 오린다.
2. 1/3정도 너비의 지점을 따라 끝까지 잘라본다.
3. 이번에는 한 번 꼬는게 아니라 2번 꼬아서 붙인 후 1/2지점을 가위로 끝 까지 오려본다.

C. 실험 모습

D. 실험 결과

한 번 꼬아 붙인 고리의 가운데를 자르면 선은 앞뒤 두 바퀴를 다 돌아서
맨 처음 시작한 점으로 오게된다. 즉 뫼비우스의 띠에는 1개의 면 밖에는 없는 것이다.
1/3정도 너비의 지점을 따라 끝까지 잘라보면 한 개는 원래 길이
또 한 개는 원래 길이의 두 배가되는 고리가 생기면서 서로 얽혀있게 된다.
두 번 꼬아서 가운데를 자르면 똑같은 고리 두 개가 서로 얽혀진다.

4.우리 귀의 고막은 어떻게 소리를 전달할까?

A . 준비물

랩, 유리 그릇, 커피가루, 냄비뚜껑, 뚜드릴 수 있는 막대

B. 실험 방법

1. 그릇에 랩을 팽팽하게 당겨 씌운다.
2. 랩 위에 커피가루를 약간 뿌린다.
3. 랩을 씌운 그릇 바로 위에서 냄비뚜껑을 막대기로 세게 뚜드려 큰 소리가 나게 한다.

C. 실험 모습

D. 실험 결과

커피가루가 통통 튀었다.
이유는 팽팽한 랩의 막이 진동을 하는 까닭이라고한다.
우리도 귀의 고막이 진동되서 듣게 된다고 한다.

5.빨대로 물이 올라오는 원리는?

A . 준비물

물컵, 빨대2개

B. 실험 방법

물컵에 빨대 1개를 꽂고 1개는 밖에 둔 후 한꺼번에 2개를 입에 물고 빨아본다.

C. 실험 모습

D. 실험 결과

빨대 1개만 빨면 물이 잘 올라오는데 2개를 빨면 물이 안 빨려진다.
빨대 2개를 한꺼번에 입에 물고 하나는 물 컵에 하나는 공기 중에 놔두면
물 컵에 꽂은 빨대의 공기를 입으로 빨아들여도 나머지 빨대 속으로
공기가 다시 새로 들어오니까 빨대 속의 기압(공기의 압력)이
낮아질 수가 없어서 물이 빨리지 않는 거라고 한다.

6.압축과 장력-아치형 구조물 실험

A. 준비물

계란 1개, 스카치테이프(작은 것) 다 쓴 심 2개

B. 실험 방법

맨 밑에 다 쓴 심 1개를 놓고 그 위에 계란을 세워서 놓고
다시 심1개를 계란 위에 모자처럼 씌워 놓은 후 무거운 책을 중심을 잘 잡고 올려놓는다.
계란은 절대 깨지지 않고 그 무게를 지탱한다.

C. 실험 모습

D. 실험 결과

사전과 다른 책 한 권을 더 올려도 계란이 깨어지지 않았다.
자연의 구조물 중 생각보다 큰 힘을 내는 게 달걀의 구조라고 한다..
둥근 아치모양 이 힘을 분산시켜 적절한 균형만 유지시켜주면
그 얇은 껍질로 엄청 무거운 힘을 지탱한다고 한다.
그걸 응용한 게 터널, 굴다리, 체육관이나 대형 운동장의 의 둥 근 지붕이라고 한다.

7. 손가락으로 배를 움직여 보자

A. 준비물

종이로 오린 이등변삼각형, 주방세제, 사각 플라스틱 통

B. 실험 방법

1. 삼각형으로 오린 종이를 물이 담겨진 쟁반 위에 올려놓는다.
2. 배 바로 뒤의 물 속에 주방세제를 묻힌 손가락을 담근다.

C. 실험 모습

D. 실험 결과

배가 앞으로 빠르게 씽 하고 나아갔다.
물분자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있고 이것을 표면장력이라고 한다.
그런데 배를 놓아 둔 후 뒷부분에 세제를 떨어뜨리면
뒷부분의 표면장력은 약화돼 버리고 배 앞부분은 표면장력이 그대로 있기 때문에
표면장력이 쎈 쪽에서 약한 쪽을 잡아당기니까 배가 앞으로 씽 하고 나가는 것이다. .

8.물로 만든 아파트

A. 준비물

주방세제, 식용유, 알콜 (소주), 식용색소

B. 실험 방법

1. 세제와 알콜에 잉크를 넣어 색을 입힌다.
2. 투명한 컵에 주방세제, 식용유, 알콜을 순서대로 넣는다.

C. 실험 모습

D. 실험 결과

빨간색 세제가 제일 밑에 가라앉고
다음이 식용유이고 알콜이 제일 위에 떠 있었다.
밀도차를 이용해 층을 형성해 보는 실험이다.
밀도란 물체의 질 량을 부피로 나눈 것이라고 하는데 부피는 같은데
질량이 틀릴 경우 무거운 물질이 밀도가 높은 것이라고 한다.
밀도가 높으면 당연히 무겁고 그러니 가라앉는 것이다.
그래서 주방 세제가 제일 무겁고 다음이 식용유, 알콜이 제일 가볍다.

9. 유리병 화산

A . 준비물

작은 유리병, 1.5L 페트병 ,빨간 색소 , 실.

B. 실험 방법

1.작은병목 주위에 실을 감아 손잡이를 만들어 둡니다.
2.큰병에 차가운 물을 3/4정도 붓는다.
3.뜨거운 물을 작은 유리병에 채운다. 물이 적색이 되도록 색을 섞는다."
4.작은병을 큰 병 안으로 천천히 집어 넣는다.
5. 뜨거운 붉은 색 물이 마치 화산이 폭발하여 생긴 연기처럼 병에서 올라온다.

C. 실험 모습

D. 실험 결과

빨간 물이 연기처럼 올라와 윗부분이 빨갛게 물들기 시작해
나중에는 골고루 섞였 다. 물의 온도가 높아지면 물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데
이것을 팽창이라고 한다. 질량은 그대로인데 부피가 커진다면 밀도는 낮아진다.
밀도가 높으면 가라앉고 밀 도가 낮으면 뜬다.
그래서 찬물과 뜨꺼운 물이 섞이면 뜨거운 물이 위로 뜨는 것이다.
빨간 물이 뜨거워서 위로 뜨니까 연기처럼 나왔다.

10. 정전기 실험

A. 준비물

풍선, 알루미늄 호일

B. 실험 방법

1. 호일 을 0.5mm 정사각형으로 잘라 동그랗게 만든다.(작은 콩처럼)
2. 그걸 풍선 속에 넣고 풍선을 분다.
3. 풍선을 묶고 마구 문지른 다음 호일 에 풍선 밖에서 손을 댄다.

C. 실험 모습

D. 실험 결과

알루미늄 호일이 벌레들같이 마구 움직인다.
정전기란 마찰에 의해 생기는 마찰 전기이기 때문에 문지른 곳만 전기를 띠게 된다.
풍선을 문질러서 정전기가 생겨서 손을 대면 호일들이 움직 이는 것이다.

11.표면장력

A. 준비물

사각 플라스틱 통, 이쑤시게.

B. 실험 방법

1.그릇에 물을 담고 이쑤시개 두개를 띄운다.
2. 물을 휘젓는다.
3.이쑤시개가 서로 달라붙으면, 세제를 붙어 있는 이쑤 시개 사이에 떨어뜨린다.

C. 실험 모습

D. 실험 결과

이쑤시게 사이가 서로 벌어진다.
모든 물질은 서로 잡아당기는 성질이 있어서 그릇 윗 부분에 공기와 접하고 있는 물은
위로는 잡아당길 물이 없어서 그 힘이 모두 밑으로만 쏠린다.
그래서 둥근 표면을 가지게 되고 이 표면에 생기는 힘을 표 면장력 이라고 한다.
이 힘 때문에 이쑤시개가 서로 붙게 된다.
서로 붙어 있 는 이쑤시개 사이에 비눗물을 떨어뜨리면 세제가
서로 당기는 이 힘을 방해 해서 서로 멀어지게 된다.

12.페트병 안에 풍선 불어넣기

A. 준비물

페트병, 풍선, 빨대

B. 실험 방법

1. 풍선을 페트병 안에 넣고 불어본다.
2. 빨대로 풍선을 약간 들어 준 뒤 다시 불어본다.

C. 실험 모습

D. 실험 결과

풍선을 페트병 안에 넣고 풍선을 불면 페트병 안에 공기가 풍선을 밀어내기 때문에
풍선이 잘 불리지 않는다. 빨대를 집어넣은 상태에서 풍선을 불면서
빨대로 풍선을 약간 들어주면 틈으로 병 안 공기가 빠져 나와서 풍선이 잘 불리게된다.

13.빨대로 생감자를 뚫어라

A. 준비물

빨대 , 감자

B. 실험 방법

1. 빨대로 감자를 찌른다.
2. 빨대의 한쪽 끝을 막고 감자를 찔러 본다.

C. 실험 모습

D. 실험 결과

빨대로 그냥 감자를 찌르면 빨대가 들어가지 않지만
빨대의 한쪽 끝을 막고 감자를 찌르면 빨대가 감자 안으로 들어간다.
그것은 빨대 속에 공기가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