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수와 수학이 뭐가 다를까요?
산수는 단지 계산능력을 말하는 것이고, 수학이라 함은 산수실력을 바탕으로 해서 문제 해결능력까지 포함하는 것이겠죠?
산수와 수학의 차이점을 이렇게 비유하곤 하죠
산수는 기탄수학푸는 것이고 수학은 정석을 푸는 것이라고,
얼마전 임신한 직원중 한명이 이런 말을 하더군요
태교를 위해서는 기탄수학을 풀어서는 아무 소용없고, 정석을 풀어야 한다고...
그래서 요즘 태교를 위해 정석을 푸는 사람들이 많다고 하더군요
저도 두 아이 모두 정석 풀면서 태교 했었는데, 한 녀석은 산수를 잘하고 한 녀석은 못합니다.
정석을 푼다고 수학을 잘하는 아이가 태어나는 건 아닌가 봅니다.
늘 저는 제가 아이들을 바라보고 느낀 점을 글로 쓰는 것이니까 토정비결만큼의 확률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일리는 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과외한 학생중 경북에서 수능 수학 2등한 아이가 있었어요
그 아이가 고등학교때 저랑 이년정도 공부를 했었는데, 지금은 한의대 졸업하고 어디선가 의사선생님이 되어있겠죠?
수학 문제를 풀면 산수 실력에서 늘 제가 딸렸어요. 저보다 계산력이 뛰어나서 말입니다.
어떻게 그렇게 빨리 계산을 하는지 물었더니, 초등학교 3학년때 방학마다 엄마랑 속셈 문제집을 사서 매일 매일 내기를 하면서 풀었다고 합니다.
누가 빨리 푸는지...
그렇게 속셈 문제집을 여러권 풀었다고
그 이후부터는 계산이 저절로 빨라졌다고
초등학교때 산수를 잘 하니까 자신감이 생겨서 고등학교때까지 수학을 잘하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나도 애 낳으면 기필코 그 방법을 쓰리라 작정하고 속셈 문제집 사는 것까지는 성공했는데, 풀지는 못했습니다.
첫애가 하도 싫어해서요
어릴적에 구몬 수학을 시켰더니, 왠간해선 싫다소리 안하고 시키는대로 하는 아이인데, 수학만 시키면 짜증을 내더라구요
이러다가 성격까지 이상해지겠다 싶어서 관두었는데, 그날 이후 지금까지 집에서 기탄이랑 계산박사, 도형박사, 문제집 이런걸로만 수학을 시켰더니
아직도 계산은 빨리 빨리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국어나 영어쪽을 잘해서 그런지, 이해력이 있어서 문제를 보고 식을 세우는 능력은 좀 갖추었어요
대부분 국어나 영어를 잘 하는 아이들이 응용문제를 잘 풀거든요
첫아이가 싫어했더라도 꾸준히 산수 연습을 시킬것을 하는 후회를 가지고 둘째는 6살때부터 산수 공부 시켰습니다.
처음엔 좀 싫어하는 듯 하더니 아직 더하기 10도 끝나지 않았는데, 만자리 덧셈을 암산으로 해 냅니다.
솔직히 저도 많이 놀랐어요
지난 여름부터 유치원도 안다니고 종일 티비보고, 컴퓨터 하고 놀던 아이었는데, 컴퓨터 게임하면서 숫자를 저절로 터득했답니다.
100이 10개 모이면 1000, 1000이 10개 모이면 만, 만이 열개모이면 10만, 10만이 열개 모이면 100만, 100만이 열개 모이면 천만, 그러면서 노래처럼 하고 다니더군요
아마도 게임 점수 계산했나봐요
지난 주 아이들 데리고 스파벨리를 다녀오는데, 한사람이 얼마냐고 묻길래, 19000원이라고 말했더니 그럼 두 사람이 가면 38000원이냐고 하더군요
그래서 어떻게 계산했냐고 하니까 만원 두개가 이만원이 되고 오천원 두개가 만원이 되어서 만원은 삼만원이 되고 남은 4천원 두개가 8천원이 되니까 38000원이 된다고 하네요
신기해서 58000원 두개면 얼마가 되냐니까 정확히 11만 6천원이란 답을 꺼냅니다.
물론 시간은 좀 걸리지만 말입니다.
아마도 돈으로 계산을 하나봐요
그치만 숫자에 어느 정도 감각은 가지고 있는 것 같아서 그냥 더하기 계산 지속적으로 시킵니다.
그러다 빨라지겠죠?
그에 비해 첫아이 지금 중학교 수학 유리수 혼합산 예습하는데, 계산하는게 너무 늦어서, 볼때마다 속상하고 그래요
물론 나도 이것 저것 다 잘하는 사람도 아니면서 아이는 영어도 잘하고 수학도 잘하고 모든 것 다 잘하길 바라는건 단지 부모의 욕심인줄 알면서도 왜 아이들만 보면 욕심이 생기는지 모르겠습니다.
잘하건 못하건, 초등학교때 산수 연습 꾸준히 시키는게, 피아노 꾸준히 가르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걸 큰 아이 중학교 넣으면서 깨달은 엄마입니다.
빨리 계산하는 능력, 아무리 계산기와 컴퓨터가 발달된 세상에 살아가는 세대라지만 꼭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것이 수학에 큰 밑거름이 되니까요
'자식농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식 농사 어떻게 지을까요? (32탄 첫 아이 수학 가르치기) (0) | 2006.01.21 |
---|---|
아이 고등학교 보내면 생활비가 두배??? (0) | 2006.01.18 |
흥정과 값 깎기 (0) | 2006.01.06 |
이천만원짜리 난초 (0) | 2005.12.30 |
돈 안 들이고 한글 가르치기 (0) | 2005.12.27 |